반응형
2025년 재산세 조회부터 납부확인서 발급까지 한눈에 정리!
재산세 고지서를 받았는데, 어디서 확인하고 어떻게 내야 하는지 막막하신가요? 이번 글에서는 재산세 조회 → 계산 → 납부 → 납부확인서 출력까지 꼭 필요한 정보만 쉽게 정리해 드립니다.
📌 목차
1. 재산세 조회 방법
📍 위택스에서 조회하는 방법 (PC)
- 🔎 위택스 홈페이지 접속
- 상단 메뉴에서 ‘지방세 → 조회납부 → 지방세 납부’ 클릭
- 공동인증서 또는 간편 인증으로 로그인
- 납부 가능 지방세 목록에서 재산세 조회 가능
📍 정부24에서 조회하는 방법
- 🔎 정부24 홈페이지 접속
- 검색창에 ‘재산세 과세내역 조회’ 입력 → 서비스 클릭
- 로그인 후 본인 명의 부동산 재산세 내역 확인
📍 모바일앱 (카카오페이, 토스 등)
- 앱 실행 후 ‘지방세’ 또는 ‘내 세금’ 메뉴 선택
- 주민번호 인증 → 납부 대상 세금 자동 조회
2. 재산세 계산 방식
주택 재산세 계산 공식:
재산세 = (공시가격 × 공정시장가액비율) × 세율
- 공정시장가액비율: 2025년 현재 60%
- 주택은 세율 0.1% ~ 0.4% 적용 (구간별 누진세)
- 1세대 1주택자는 세율 인하 혜택 적용
예시 계산: 공시가격 3억 원 주택
▶ 과세표준 = 3억 × 60% = 1.8억 원
▶ 세율 0.15% 적용 시 = 약 27만 원 (정확한 금액은 고지서 확인)
과세표준 구간 | 세율 |
6,000만원 이하 | 0.10% |
6,000만원 초과~1.5억원 이하 | 6만원 + (6천만원 초과 금액의 0.15%) |
1.5억원 초과~3억원 이하 | 19.5만원 + (1.5억원 초과 금액의 0.25%) |
3억원 초과 | 57만원 + (3억원 초과 금액의 0.40%) |
3. 재산세 납부 방법
① PC/모바일 납부
- 위택스: 로그인 후 '지방세 납부' 메뉴 → 카드 또는 계좌이체
- 인터넷지로 (www.giro.or.kr): 고지서 번호 입력 후 납부
- 카카오페이·토스: ‘지방세’ 메뉴 → 간편결제
② 오프라인 납부
- 은행 창구·ATM: 고지서 지참 또는 납부번호 입력
- 지자체 ARS: 카드번호로 납부 가능
4. 납부확인서 발급 방법
- 위택스 납부확인서 출력
- 위택스 로그인
- ‘납부결과 → 납부확인서 출력’ 클릭
- PDF 저장 또는 출력 가능
- 정부24에서 납세증명서 발급
- 정부24 로그인 → 검색창에 ‘지방세 납세증명서’ 검색
- 발급신청 → 본인 인증 후 출력 가능
- 모바일 앱에서 영수증 확인
- 카카오페이·토스에서 납부 내역 확인
- 영수증 화면 캡처 또는 PDF 저장 가능
재산세는 매년 7월·9월 2회 납부하며, 위택스·정부24·간편앱에서 조회, 납부, 확인서 발급까지 모두 처리할 수 있습니다. 고지서를 잃어버렸어도 당황하지 말고 위 절차대로 확인해 보세요!
※ 본 글은 2025년 7월 기준으로 작성된 정보 제공용 콘텐츠입니다. 정확한 납부 금액 및 기한은 거주 지역의 고지서를 기준으로 확인하세요.
#재산세조회 #재산세계산 #위택스 #정부24 #지방세납부 #납부확인서출력
반응형
'오늘의 뉴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신용카드 소득공제 폐지? 팩트체크 (0) | 2025.07.15 |
---|---|
구리 세음교회 대형 화제 발생 (0) | 2025.07.03 |
2025년 장마 끝났나 (0) | 2025.07.03 |
2025년 부동산 대출 규제 총정리 (0) | 2025.06.27 |
서울 수도권 지하철 요금 인상 시기 금액 교통비 절약 방법 (0) | 2025.06.27 |